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21

도안 전사 방법 3가지 — 트레이싱, 카본, 직접 스케치 우드버닝을 하다 보면, 처음 마주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가 바로 도안을 나무 위에 옮기는 일입니다.이 과정이 단순히 밑그림을 그리는 일처럼 보일 수도 있지만, 실제로는 작품의 완성도를 결정짓는 ‘기초 설계’와 같습니다. 저 역시 처음에는 어떤 도안을 선택해야 할지, 또 어떻게 나무 위에 옮겨야 할지 몰라서 많은 시행착오를 겪었습니다.처음에는 손으로 바로 그리다가 선이 휘어지고, 비율이 맞지 않아 나무 한 판을 통째로 버린 적도 있었지요.그때 깨달았습니다. 우드버닝은 불로 그림을 그리는 예술이지만, 그 출발은 결국 ‘선’에서 시작된다는 사실을요. 나무는 한 번 그리면 지우기 어렵기 때문에, 처음의 선 하나하나가 중요합니다.그렇기에 도안을 옮기는 과정은 단순한 준비가 아니라 ‘마음의 정리’이기도 합니다.도안을.. 2025. 11. 6.
처음 탄 냄새, 나무의 기억 처음 우드버닝을 시작했을 때,가장 먼저 제 마음을 사로잡았던 건 시각적인 아름다움이 아니라 ‘냄새’였습니다.버닝펜 끝에서 미세하게 타오르는 나무의 향, 그 은근하고 따뜻한 냄새가 공기 속에 퍼질 때마다작업실 안은 조용하지만 생명력 있는 온기로 가득 찼습니다. 그 냄새는 단순한 나무 타는 냄새가 아니었습니다.시간이 쌓이고 기억이 묻은 나무의 이야기가 불의 온도를 통해 천천히 깨어나는 듯한 기분이었어요.그래서일까요, 저는 아직도 우드버닝을 시작할 때 버닝펜을 켜기 전 잠시 숨을 고르고작은 긴장과 함께 첫 냄새를 기다립니다.그 냄새가 나무가 ‘이제 준비가 됐다’고 말하는 신호처럼 느껴지니까요. 우드버닝은 시각의 예술이지만, 냄새와 감정으로 기억되는 예술이기도 합니다.불이 지나간 자리에는 색뿐만 아니라 향이 남.. 2025. 11. 5.
라인 연습 도안 따라 그리기 우드버닝을 처음 시작할 때, 가장 많이 듣는 말이 있습니다.“선을 잘 그리면 뭐든 다 된다.”그 말이 단순한 조언이 아니라 불을 다루는 모든 예술의 본질이라는 걸저는 꽤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깨달았습니다. 처음 버닝펜을 쥐었을 때, 손끝은 생각보다 무거웠고 마음은 어딘가 긴장되어 있었습니다.작은 불빛이 펜 끝에서 피어오를 때마다 그 불이 나를 향해 묻는 것 같았습니다.“너는 이 열을 얼마나 다룰 준비가 되었니?”그 물음에 제대로 답하지 못한 채 처음 몇 번의 시도는 선이 아닌 ‘흔적’만을 남겼습니다. 우드버닝은 불로 그리는 예술입니다.하지만 그 불은 단순히 ‘태우는 도구’가 아니라 감정과 집중, 그리고 리듬을 담아내는 매개체입니다.그래서 선을 긋는다는 건 단순히 형태를 만드는 행위가 아니라 불의 온도와 .. 2025. 11. 5.
우드버닝 기법 종류 정리 (라인·음영·채색) 우드버닝을 처음 시작했을 때,가장 신기했던 건 불이 단순히 태우는 도구가 아니라 하나의 붓처럼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는 사실이었습니다. 나무 위에 불이 닿는 순간,그 흔적은 단순한 선이 아니라온도와 속도, 그리고 마음의 떨림이 함께 새겨진 기록이 되었습니다. 처음엔 단순히 그림을 새기듯 선을 따라갔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불의 농도’가 만들어내는깊이에 빠지게 되었습니다.같은 버닝펜이라도 온도 조절과 손의 속도에 따라 그 결과는 전혀 달라졌고,그 미묘한 차이를 알아가는 과정이 바로 우드버닝의 매력이었습니다. 오늘은 제가 직접 우드버닝을 하며 경험한세 가지 대표적인 기법 — 라인, 음영, 채색에 대해 이야기하려 합니다.단순히 기술적인 구분이 아니라, 각 기법이 어떤 감정을 담아내고어떤 상황에서 더 아름답게 표현.. 2025. 11. 5.
공방의 따뜻한 공기와 커피 한잔 아침의 공기는 언제나 조금 다릅니다햇살이 천천히 스며드는 창가를 따라 먼지가 부유하고, 버닝펜의 전원을 켜기 전작은 긴장감이 공기 속에 녹아들 때, 그때야 비로소 하루가 시작된다는 걸 느낍니다커피 머신이 작게 울리는 소리, 잔을 따뜻하게 감싸는 손끝의 감촉,그 사이로 퍼지는 구수한 향이 공방 안을 가득 채웁니다우드버닝을 시작한 이후로, 이 커피 향은, 하루의 리듬을 맞추는 신호가 되었습니다불과 나무, 그리고 커피, 이 세 가지는 언제부턴가 제 하루를 완성하는 조합이 되었고그 중에서도 커피 한잔이 주는 안정감은 작업의 몰입도를 바꿉니다우드버닝은 단순한 손의 기술이 아니라 마음의 정돈이 필요한 예술이라 작업 전 커피 한 모금의 여유는불의 온도만큼이나 중요해졌습니다공방은 늘 조용하지만, 그 조용함 속엔 수많은.. 2025. 11. 4.
작업대 정리와 공간 꾸미기 팁 우드버닝을 시작하고 가장 먼저 부딪혔던 고민이 있었습니다불과 나무를 다루는 예술이라는 건 알았지만 막상 작업을 하려니 공간이 좁고 도구들이 흩어져 있어서집중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버닝펜과 팁, 사포, 오일, 그리고 나무 조각들이 작업대 위에 어지럽게 흩어져 있을 때면작품의 완성보다 정리부터 해야 할 것 같았죠그때부터 저는 생각했습니다‘공간을 정리하는 일도 작품의 일부구나’ 하고요.우드버닝은 집중과 몰입이 중요한 작업입니다작은 선 하나에도 온도의 미묘한 차이가 생기고조금만 정신이 흐트러져도 나무 위의 불빛이 번져버립니다그래서 정돈된 공간은 단순히 깔끔함을 위한 게 아니라, 마음의 흐름을 일정하게 잡아주는 가장 기본적인 조건이 됩니다 그 후로 저는 작업 공간을 꾸미는 데에 더 많은 신경을 쓰게 되었습니다단순.. 2025. 11. 4.